티스토리 뷰
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6년 동안 개발직을 하면서 팀원으로써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. 이제 좋은 팀원이 무엇인지는 얼추 알겠는데 올해 24년을 맞이하며 셀장이라는, 난생처음 리더의 자리를 맡게 되었다.
서버셀은 나 포함 3명 뿐이지만, 모두가 만족하는 좋은 팀을 만들고 싶었다. 관련해서 이것저것 읽고 찾아보았는데, 그중 감명 깊게 읽은 [최고의 팀은 무엇이 다른가?]에서 말하는 최고의 팀의 특징 중 몇 가지만 나열해 본다.
1. 소속감
이 팀에서 내가 의견을 자유롭게 내도 안전한지, 그리고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지, 함께하는 모습이 그려지는지에 따라 소속감을 느낀다.구성원들이 서로를 신뢰하고 상호존중하며, 미래를 함께 그릴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.
2. 몰입
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헌신한다. 각 구성원은 자신의 역할에 몰입하여 최선을 다한다.
3. 피드백 문화
건설적인 피드백을 주고받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. 구성원들은 서로 지속적으로 격려하고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한다.
이를 바탕으로 내가 건설하고자 했던 팀은,
- 팀에서 소속감을 느끼고
- 공동의 목표를 위해 최선을 다하며
- 서로의 성장을 위해 격려해 주는
팀을 만들고 싶었다.
이를 위해 내가 진행한 것들 몇 가지를 공유해 본다.
팀의 문화 정하기
기존에도 어느 정도의 규칙과 문화가 있었지만 이번 기회에 구성원들이 느끼는 팀의 아쉬운 점과 바라는 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.
규칙/문화를 함께 만듦으로써 팀의 규칙/문화에 공감하고 어려운 점들을 개선했을 때 팀에서의 안전감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.
그래서 우리는 다 같이 모여 우리 팀의 현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.
우리는 이 시간을 통해 팀의 좋은 점과 아쉬운 점을 파악하여 어떤 점을 유지하고 어떤 점을 개선해 나갈지 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.

이야기를 나눌 때는 어려운 점을 편하게 얘기할 수 있도록 즐거운 텐션을 가져가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.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우리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발견했는데, 예를 들면
- 슬랙으로 업무 요청이 들어오면 내가 처리해야 되는지 눈치가 보인다.
- 회고가 없다.
- 문서화가 잘 되지 않는다.
- 페어코딩 등 협업의 경험이 없어서 아쉽다.
등이 있었다.
우리는 이러한 해결책에 대해서도 같이 고민했다. 함께 합의했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준 구성원들 덕분에 모두가 공감하는 문화로 첫 단추를 끼울 수 있었다.
사실 내가 이런 시간을 만들어도 구성원들이 시큰둥하면 아무 의미 없는데 많은 의견을 내주어 정말 감사했다.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건 조금 두려운 일이었지만 모두 좋은 팀 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가 보여서 계속 시도하게 되었다.
구성원들의 관심사 알기
셀장의 역할 중 업무 분담이 있다. 업무 중에는 도전 의식이 생기는 일도 있고, 단순하고 귀찮은 일들도 있기 마련이다. 처음 역할 분배를 할 때는 연차를 고려했다. 3년 차인데 인프라 경험이 아직 많이 없어 보여서 Deploy 환경 구축의 업무를 맡기는 식이었다. 추가로 구성원들의 관심사를 고려해서 업무 할당을 해주는 것도 의욕을 고취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관심사에 대해 가볍게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. 관심사를 기반으로 태스크를 할당해 주기 위해 노력했고 마이너 한 업무도 사정에 따라 공평하게 나누어주려고 노력했다.
회고 문화 만들기
우리 팀이 가장 하고 싶었던 것 중 하나는 회고를 하는 것이었다! 열심히 하지만 내가 잘하고 있는지, 더 개선해 나갈 점이 없는지에 대해 피드백이 필요한 상황이었다.
아무도 경험이 없는터라 어떤 식으로 회고를 할지 찾아봤는데 다양한 방식의 회고 문화가 있었다.
그중 가장 먼저 시도해 본 건 KPT 방식이다. KPT는 3가지 항목에 대해 다룬다.
- Keep(유지):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들을 기록한다. 이미 잘하고 있는 것을 칭찬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.
- Problem(문제): 발생한 문제나 불편한 점을 기록한다. 팀이나 개인이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.
- Try(시도): Problem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할 것들을 기록한다. 이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접근 방법을 시도함으로써 성과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KPT 방식과 함께 우리가 해보고 싶은 것들을 담아 아래와 같은 템플릿을 만들었다.

주간 이슈
- 한 주에 발생한 서비스 요청, 기술 질문 등을 담아서 리마인드 하는 항목을 만들었다. 나만 알지 않고 서로의 지식 싱크를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추가하였다.
티켓 작업 소감 공유
- 한 주에 업무를 처리하면서 힘들었던 점이나 느낀 점을 공유하는 항목을 만들었다.
- 바빴다부터 이번주는 왠지 집중이 안 됐다는 이야기 등 가감 없이 얘기하며 서로의 사정을 이해했다.
KPT
- KPT 방식을 통해 잘한 점은 칭찬하고 불편한 점은 개선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만들었다. 우리의 KPT 내용 중 하나를 공유해 본다.

초반에는 이 KPT 방식에 만족했고, Try영역도 지키려는 노력을 했다. KPT를 통해 많은 개선점들을 이뤘다. 그러나 매주 KPT를 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. 그 이유로는,
- 매주 칭찬할 거리와 불편한 점을 떠올리는데 어려움이 있다. 생각보다 일주일이 짧다.
- 일주일에 한 번 모여서 KPT 항목을 떠올리려니 잘 떠오르지 않는다. 당시에는 있었는데 기억이 잘 안 난다.
등의 문제가 있었다.
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그날그날 기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했다. 우아한 블로그를 참고해서 포스트 형식의 보드를 만들었다.
https://techblog.woowahan.com/2713/


업무 중에 느끼는 감정이나 불편한 점들을 그날그날 기록했고 매주 금요일마다 함께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.
결과적으로 가장 만족한 회고 시스템이었다!
우선 위에서 언급한 KPT 형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. 구체적으로는,
- 포스트에 불편한 점이 붙어있을 때만 논의했기 때문에 매주 Problem 항목을 고민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했다.
- 업무 중에 든 생각이 있으면 그때그때 포스트를 붙이기 때문에 기억이 안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.
처음에는 어색했지만 우리는 이 시간을 통해 서로를 더 이해하고 불편한 점을 개선할 수 있었다고 본다. 개인적으로도 이런 이야기를 나누면서 구성원들에게 감사함과 애정이 생겨 우리 팀이 너무 소중하고 계속 더 좋은 팀을 만들어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. 이 방법만이 정답은 아니지만 팀의 결속과 신뢰 쌓기가 필요하다면 서로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피드백 문화를 추천하고 싶다.
마무리하며
팀의 문화를 바꾸고 새로운 것들을 시도해본다는 것이 잘 가고 있던 팀을 되레 혼란스럽게 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. 그래서 구성원들과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의사결정을 했다. 대화 중에 의견이 충돌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팀원 모두 좋은 팀을 만들고 싶다는 의지가 있고 실천하려는 노력을 했기 때문에 이러한 대립들도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. 부족했던 셀장과 함께 팀을 만들어나가주어 정말 고맙다는 생각과 더불어 리더십과 좋은 문화 만들기에 더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:)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gradle
- sns로그인
- elasticsearch
- logstash
- DevOps
- await
- kibana
- pytest
- JWT
- Supervisor
- Pydantic
- fastapi
- ArgoCD
- bugfix
- grafana
- numble
- async
- NCP
- Project
- supervisord
- kubernetes
- kubectl
- coroutine
- promethus
- elk
- factory_boy
- miniproject
- GitOps
- jwt로그인
- OAuth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